안녕하세요, 여러분! 오늘은 청년들의 자산 형성과 경제적 자립을 돕기 위해 출시된 금융상품인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이번에는 사회초년생 슈카가 월급 230만 원을 받고, 연봉 상승률이 4%일 때 청년도약계좌를 통해 어떤 수익을 얻을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. 슈카의 세전 연봉은 3000만 원이며, 12%의 세금을 적용한 후 실수령액이 230만 원이라는 가정을 바탕으로 계산하겠습니다.
Q1. 청년도약계좌란 무엇인가요?
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이 안정적으로 자산을 축적하고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2023년 6월에 출시된 금융상품입니다. 가입요건을 충족하는 19~34세 청년이라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으며, 5년간 매달 최대 70만 원까지 납입할 수 있습니다. 병역이행기간(최대 6년)은 연령 계산 시 제외됩니다. 농협, 신한, 우리, 하나, 기업, 국민, 대구, 부산, 광주, 전북, 경남은행 등 11개 은행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청년도약계좌 가입 신청이 가능합니다. 정부는 이 계좌에 재정 지원과 세제 혜택을 부여하고 있습니다.
Q2. 누가 가입할 수 있나요?
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려면 다음 세 가지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:
- 개인 소득 요건: 근로소득(총급여) 60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4800만 원 이하
- 6000~7500만 원 이하인 경우 청년도약계좌 가입은 가능하지만,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만 적용됩니다.
- 가구 소득 요건: 기준 중위소득 250% 이하
- 연령 요건: 만 19~34세 (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은 연령 계산 시 제외)
특히, 2024년부터는 육아휴직자와 군 장병도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할 수 있도록 비과세 소득인 육아휴직 급여와 군 장병급여도 개인 소득으로 인정됩니다.
Q3. 어떤 혜택들이 있나요?
청년도약계좌의 금리 수준은 최대 6%(기본금리 연 4.5% + 우대금리 연 1.0~1.5%)로 타 적금 상품 대비 높은 편입니다. 정부는 청년도약계좌 가입자에게 두 가지 혜택을 지원합니다:
- 정부기여금: 청년도약계좌 가입 청년의 저축액에 매칭하여 정부가 지원하는 금액으로, 소득이 낮을수록 더 높은 매칭 비율이 적용됩니다. 월 최대 2만 4천 원까지 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
- 이자소득 비과세: 적금에서 발생하는 이자소득(세율 15.4%)이 전액 비과세되어 실질 수익률이 높아집니다.
또한, 매달 꾸준히 납입하는 청년들은 신용점수 가점을 받을 수 있도록 금융권과 협의 중입니다.
사회초년생 슈카의 사례
사회초년생 슈카가 월급 230만 원을 받고, 연봉 상승률이 4%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. 슈카는 청년도약계좌에 매달 최대 70만 원을 납입하기로 결정했습니다. 이때 연봉에 12%의 세금이 적용된다고 가정합니다.
연봉 및 세후 소득 계산
- 세전 연봉: 3,000만 원
- 세금(12%) 적용 후: 3,000만 원 × (1 - 0.12) = 2,640만 원
- 세후 월 소득: 2,640만 원 / 12개월 = 220만 원
이제 슈카가 청년도약계좌에 매달 70만 원씩 납입한다고 가정하여 5년 동안의 총 저축액과 수익률을 계산해보겠습니다.
청년도약계좌 5년간 수익률 계산
- 매달 납입액: 70만 원
- 연 이율: 기본금리 4.5% + 우대금리 1.5% = 6%
- 정부기여금: 월 최대 2.4만 원
- 총 납입액: 70만 원 × 12개월 × 5년 = 4,200만 원
1년 차:
- 월 납입액: 70만 원
- 연 이자: 70만 원 × 12개월 × 0.06 = 50.4만 원
- 정부기여금: 2.4만 원 × 12개월 = 28.8만 원
2년 차:
- 월 납입액: 70만 원
- 연 이자: 70만 원 × 12개월 × 0.06 = 50.4만 원
- 정부기여금: 2.4만 원 × 12개월 = 28.8만 원
이렇게 5년 동안 계산하면, 매년 정부기여금과 이자를 더해 최종 수령액을 구할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여기서는 총 납입액과 대략적인 수익률을 알아보겠습니다.
5년 후 총 수익:
- 총 납입액: 4,200만 원
- 총 정부기여금: 28.8만 원 × 5년 = 144만 원
- 총 이자(단리 기준): 50.4만 원 × 5년 = 252만 원
최종 수령액: 4,200만 원 + 144만 원 + 252만 원 = 4,596만 원
실제로는 이자가 복리로 계산되므로 최종 수령액은 더 높아질 수 있습니다.
Q4. 5년간 성실히 납입하는 경우 수익률이 어떻게 되나요?
청년도약계좌를 5년간 성실히 납입하는 경우, 만기 시 최대 약 5,000만 원을 수령하여 의미 있는 목돈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. 이는 연 이율 78%대인 일반 적금 상품에 가입한 것과 동일한 효과로,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할 경우 시중 적금 상품 대비 22.5배의 수익률을 거둘 수 있습니다.
결론
청년도약계좌는 사회초년생들이 자산을 효율적으로 축적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합니다. 슈카와 같은 사회초년생이 매달 70만 원씩 5년간 저축하면, 정부의 지원과 높은 금리 덕분에 상당한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. 청년 여러분, 지금 바로 청년도약계좌를 통해 안정적인 미래를 준비해보세요!
보다 자세한 안내는 청년도약계좌 홈페이지 또는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를 참고하거나, 청년도약계좌 비대면 상담센터(☎1397→바로 ‘3’번, 영업일 오전 9시~오후 6시30분) 또는 취급은행 콜센터에 문의할 수 있습니다.
관련 기사: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신혼부부를 위한 복지정책 혜택: 임신 준비와 주거안정 지원 (0) | 2024.06.13 |
---|---|
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: 청년의 내 집 마련을 위한 기회 (0) | 2024.06.12 |
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, 청년을 위한 희망의 사다리! (0) | 2024.06.10 |
청년·신혼·신생아 가구를 위한 매입임대주택 4424가구 입주자 모집! 놓치지 마세요! (1) | 2024.06.10 |
요즘 사교육비, 어디까지 올라갔나? 신선한 시각에서 바라본 사교육 현실 (0) | 2024.06.09 |